2012. 10. 17. 14:30ㆍ♧- 사는 이야기 -♧/역사와 예술
LA의 Beverly 길에서 Hoover를 막 지나면 조그마한 사인 판이 눈에 들어온다. 눈여겨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고 말 그런 조그맣고 파란 사인 판이다. 바로 필리피노타운을 알리는 'Historic Filipinotown'이란
사인 판이 길 오른쪽 신호등에 달려 있다.
히스토릭 필리피노타운은 2002년 8월에 LA시로부터 공식적인 문화 구역으로 승인을 받았다고 한다. 다른 곳보다 늦게 시작하였고 또한, 한인타운처럼 밀집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아직은 필리핀 특유의 색채가 묻어난다고는 할 수 없다.
이와 똑같은 사인 판이 다운타운 방향에서 Temple 길을 따라 반대로 오다 보면 Glendale Blvd를 지나서 또 보인다. 그러다 보니 언뜻 생각해 보면 필리피노타운의 구역이 엄청 넓구나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지만,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.
Temple 길의 Rampart와 Union 사이 그리고 Beverly와 Hoover의 일부 구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. 하지만 상권보다는 거주지역으로 꼽히는 곳이라 하고 작지만 알찬, 갖가지 전통 필리핀 음식을 맛볼 수 있어 한 번쯤 이곳의 레스토랑을 찾아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되리라 생각한다.
Beverly & Hoover쪽 사인 판
Temple & Glendale Blvd.에 보이는 사인 판
필리핀은 7,0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졌다. 따라서 생선 및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고 돼지고기와 닭고기 등 육류를 많이 먹는다고 한다. 역사적으로는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였으며 지리적으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그리고 중국과 인접한 관계로 여러 문화가 혼합된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달했으리라 본다.
* Menudo
저민 돼지고기, 감자와 토마토, 파프리카, 양파 등과 함께 끓인 국 종류
* Sinigang
생선이나 돼지고기를 넣어 끓인 야채수프
* Lechon Kawali
통돼지 바비큐인 Lechon(돼지고기)를 썰어 담은 요리
* Pansit
필리핀식으로 볶은 국수
필리핀 레스토랑에서 맛볼 수 있는 애피타이저 종류에는
* Chicharon Bulaklak
닭과 돼지의 내장을 바삭하게 튀긴 요리이며 참고로 블락락은 꽃이란 의미이다.
* Sisig
돼지 삼겹살과 간, 할라피뇨 등을 칠리소스로 매운맛을 내게 한 요리
마지막으로 달콤한 디저트가 있다.
* Halo Halo
* Leche Plan
(음원제공 YouTube :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d oak tree - Tony Orlando)
필리핀 음식은 얼큰하거나 매운 음식은 별로 없고 주로 짭짤하거나 달콤한 편이다. 아마도 열대 지방에 속하기 때문에 땀으로 빠져나간 염분의 보충과 더위를 이기기 위한 특성이 가미된 듯하다.
열대 지방이라고 다 같은 것은 아니고 태국은 보통 양적 기질이 세서 차가운 돼지고기를 즐기지 않고 필리핀은 한의학에서 말하는 음성 체질로 돼지고기를 즐긴다고 한다. 또한, 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삶거나 끓이는 조리법이 발달하였다고 한다.
Beverly & Hoover에 있는 필리핀 음식점
'♧- 사는 이야기 -♧ > 역사와 예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명 조각가 5명의 그룹전 (0) | 2012.10.17 |
---|---|
2011 LA 오토쇼 (0) | 2012.10.17 |
샌패드로 상공에 종소리가 33번 울린 까닭은 (0) | 2012.10.17 |
565회 한글날 기념 서예전 (0) | 2012.10.17 |
볼거리 먹거리 풍부한 LA 카운티 페어 (0) | 2012.09.05 |